상품검색

최성덕

공존

Code 1651558308
제조사 조형
작품사이즈 17x9x3cm
재료 레진에 아크릴채색
배송기간 5-10일
작품가격 1,200,000원
적립금 24,000원
합계가격
1,200,000원


DETAIL


 





공존 17x9x3cm 레진에 아크릴채색 2022 




최성덕/ Choi seong deok 

 

 


 

 

학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각학과 석사 졸업

 

) 광장조각회 회원, 양평미술협회 회원

 

 

 

개인전

2017(서진아트스페이스, 서울)

2018, (JH갤러리, 서울)

2018, (갤러리 일호, 서울)(단체전)

2021,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2021, (을지트윈타워, 서울)

2021, (여수엑스포 컨벤션센터, 여수)

2021, 소장, (ASUKE ARTARIA 도요타, 일본)

2021, 기증, (명동성당, 서울)

2020, (충북교육문화원 예봄갤러리, 청주)

2020, (금강자연미술센터, 공주)

2020, (로운아뜨리움갤러리, 서울)

2019, (한전아트센터, 서울)

2019, (중앙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서울)

2019, (상하이 중산공원역, 중국)

2019, 토카아트 제휴작가전, (갤러리 구루지, 서울)

2018, ‘한국 청년 작가전’, (상하이세계무역전시관, 중국순회전시/ 중국)

2018, (서울시청 시민청 갤러리, 서울)

2018, (Gallery wall, 울산) 2018, (AK GALLERY, 수원)

2018, (양주 시립 장욱진 미술관, 양주)

2018,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2017, (스페이스 빔, 인천)

2017, 현대 모피 대전 아트 콜라보레이션 전 (현대백화점 목동점, 서울)

2017, (ARTMORA GALLERY, New Jersey)

2017년 신진작가 기획 초대 단체, (산울림 아트 앤 크래프트, 서울)

2017, Jump of new artist, (갤러리 자운제, 경기도 고양

2017, (DDP, 서울)

2017, 패션브랜드 손정완&아티스트 최성덕 콜라보레이션(현대백화점 목동점, 서울) 2016, (부천시 심원초등학교 소장전, 경기도 부천)

2015년 제4회 좋은데이 대학()생 전국 미술대전, , (굿데이 뮤지엄, 경상남도 창원

2013년 오산시 뷰티 힐링 축제 제1회 설치미술제 야외조각(경기도립 오산물향기 수목원, 오산문화공장 시립미술관, 오산)

 

 

 

*수상 내역 - 대교문화재단 이사장 공로증서/ 양평교육지원청 교 육 장 표 창 장 / 강 원 일 보 사 장 상 ( 특 별상 ) / 경 기 중 등 미 술 교 육 연 구 회 장 표 창 장 / 부천 시 심 원 초 등 학 교 장 감 사 장 / 경 기 미 술 대 전 특 선 / 강원미술대전 특선/ 경인미술대전 특선/ 좋은데이 전국미술대전 우수상/ 태백시의회장상

 

 

*소장처 - 대교문화재단, 좋은데이본사, 부천시 심원초등학교, 제주도강정평화도서관, ASUKE ARTARIA Kanae 퍼블릭 미술관, 오산시립미술관 외 다수의 작품 개인소장.

 

 

 

 

 

 

작가노트

나는 항상 자연과 대화하고 사회적인 현상을 바라보며 다시 나에 대해서 고민을 한다. 이때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무의식에서의 다양한 형상에 집중하며, 드로잉으로표현하거나 입체 조각으로 나타낸다. 겉모습으로만 판단할 수 있는 아름다움만이아닌 이면에 대해서 집중하고 고민하며 내 자신을 발견하기도 한다. 과거 라마수석상이나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기괴한 작품들은 또 다른 작품의 조형 형태를 발견하는 것에 큰 영감을 가져다 주었다. 나아가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과 프로이트의 무의식을 내 작품의 연구 내용으로 가져오면서 조각과 드로잉에서의 구체적인 표현과 해석이 가능해졌다. 내가 찾아내고자 하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또 다른 가능성을 생각한다. 10년간의 대리석 조각 작품 작업은 지구가 탄생하면서 자연스럽게 퇴적되어 나의 조형 작품으로 세상 밖에 나온 다는 것에서 깊은 의미를 지닌다. 하나의 물성에 천착하여 기교적이거나 설명적인 내용의 작품이 아닌 내가 바라보는사회적인 상황, 자연적인 현상 등에 대한 겉과 속의 이중적인 합을 조형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