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생활의 중도, 이왈종 작가 제주생활의 중도, 45X53cm(이미지크기), 실크스크린
국내 대표적인 동양화가인 이왈종 작가는 ‘생활의 중도’라는 주제를 통해 자연의 풍광과 일상의 희로애락을 다양한 색채로 표현하는 작가이다. 전통적인 동양화의 화풍에서 벗어나 일상적인 이야기와 이상이 결합된 소재의 작품들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생활의 중도, 57X48cm(이미지크기), 실크스크린 작가는 1990년대 이후 제주에 머물면서 자연과 일상을 담은 ‘제주생활의 중도’ 시리즈를 그리고 있다. 이왈종 작가의 특징은 자유롭게 배치된 화면구성과 풍부한 색채감이다. 또한 재료나 기법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동양화에서 볼 수 없었던 아크릴이나 부조기법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보자기, 조각, 도자 등 다채로운 작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제주생활의 중도와 연기, 조각, 2015 제주생활의 중도와 연기, 도자기, 2015 이왈종 작가는 ‘중도’라 소재를 통해 나무, 꽃, 새 등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과 인간사의 다양한 일상과의 조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중도란 인간이 살아가는데 어쩔 수 없는 환경에 처할 때 애증으로 고통과 번뇌하고 탐욕과 이기주의로 다투는 현실 속에서 벗어나려는 하나의 방편이듯 사랑하고 미워하는 마음이 최고에 이를 때 결국 자기 자신은 마음의 상처를 받기 때문이다. 평상심을 유지하고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길 염원하는 마음으로 중도란 소재를 선택하였다.” -작가의 말 제주생활의 중도, 83X62.5cm(이미지크기), 실크스크린 작가약력
중앙대학교 회화과 졸업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전시> 1986 한국화100년전(호암갤러리) 1987 현대미술 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화랑협회전(호암갤러리) 1988 현대한국 회화전(호암갤러리) 1989 국제수묵화전(북경,중국) 1990-94 서울미술대전(시립미술관) 1993 한· 중 미술협회 교류전(예술의 전당)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국립현대미술관) 1995 MANIF 서울 `95(한가람미술관) 전통과 오늘의 작품(선재미술관, 경주) 서울미술대전(시립미술관) 실크로드 미술기행Ⅲ전(동아갤러리, 서울) 1996 에로스 바로보기(동산방화랑) 20세기 한국미술사(노화랑) 도시와 미술전(서울시립미술관) 한국화· 양화 100호전(천안 아라리오화랑) 남북 평화미술전(도쿄, 일본) 신축 금호미술관 개관전(금호미술관) 1997 개인전(가나화랑외 2회) 0의 소리전(성곡미술관) 한국미술의 Entarsis전(동덕아트갤러리) 1998 한국화 126인 부채그림전(공평아트갤러리) 가나아트센터 개관기념전(가나아트센터) 제2회 종교예술제(예술의 전당 미술관) 1999 세계한민족작가 100인전(세종문화회관) 서울미술대전(서울 시립미술관) 2000 세계평화 미술제전 2000(예술의 전당 미술관) 운경 이재형선생 추모전(세종문화회관) 개인전 (가나아트센터) 외 다수 <수상> 제23회 국전 문화공보부 장관상 수상, 제2회 미술기자상 수상, 한국미술작가상, 수상(미술시대), 제5회 월전미술상 외 다수
Gallery Artri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