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기숙
    거기 있는 풍경

  • Code 1610686525
    작품사이즈 80x25cm (25호)
    재료 캔버스에 한지 흙과 채색
  • 액자종류
    매트종류
  • 배송기간 5-10일
  • 작품가격 전화문의
  • 구매하기
    목록보기
    장바구니





‘거기있는 생명’ (The life that is there)'
            
인간과 자연의 역사는 무척이나 닮아 있음을 본다.
한 포기의 식물이 싹을 틔우고, 성장하고, 햇빛과 바람, 비와 곤충등과 유대하며 

 


 

찬란한 꽃을 피우고 이내 열매를 맺는다. 
그 후 자신의 열매를 떨어뜨려 자신을 품은 대지를 남긴다.  
그리하여 그들의 역사는 지속된다.
         
인간도 태어나 가족과 주변 사람들, 또는 사물들과 소통하며 성장하고, 
찬란하게 아름다운 시절을 지나 결혼을 하고, 이내 자식이라는 존재를 남기며 
그 역사를 계속한다.
         
자연 속의 생물이 삶을 지속하는 동안 햇빛, 바람, 빗물, 곤충 등의 존재와 

 

안 보이는 듯 서로를 유대 하듯이, 사람들도 마주하며 서로를 적절히 소통하고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가정’이라는 작은 공동체
를 이뤄 내기위해 노력해야 하는 서로의 희생과 사랑...
‘자식’이라는 나와 닮은 존재를 얻고, 
한 생명을 세상에 나가게 하기위해 담아내야 하는 인내와 사랑 그리고 희생...
이를 통해 한 생명의 소중함을 보았고, 
되돌아서 자연의 작은 생명까지 이해하게 되었다.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소통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 
또 내가 모르는 사이 이루어지고 있을 자연의 공존하는

 

 

세계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보았다.
생명은 살아있음 그 자체도 의미하지만 거기에 그 생명이 존재하기위한  

 

 

그들의 공간 속에서의 여러 관계와 소통에 대한 의미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때로 그 소통함을 위해 가슴을 내려놓아야 하는

 

 

커다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아마도 인간과 자연이 비슷하면서도 좀 다른 건 그 의지와 노력일 것이다.
         
끝없이 가슴을 열어야 하고 
그리고 마음의 한 조각씩 꺼내어 버려야 하고
그 빈 곳을 적절한 이해와 사랑으로 채워야 한다.
그 것이 아마 인생인 듯 하다.

 


 

나는 오랜 시간동안 지속된 담대하면서도 세밀한 조화로움을 지닌 자연의 
모습을 통해 언뜻 언뜻 보이는 그와 닮은 인간의 역사를 함께 짚어 보고자 했다
그것은 과실나무와 잡초가 나름의 땅으로 함께 생명을 유지하는

 

‘공존의 삶’이기도 했고, 햇살과 비, 바람과 소통하며

그 생명을 유지하고 지속하는 ‘소통하는 삶’이기도 했다.

그러한 것들이 그 자리에 늘 그 생명을 있게 하는 이유인 것 같다.       


 

-작가노트 中

 


 


 이 기 숙( 李 基 淑 )


 


■ 학  력
 1992년 2월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1988년 3월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입학
 1988년 2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1984년 3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입학


 


■ 교육경력
 2008년 3월 - 2010년 12월     추계예술대학교 동양화과 출강
 2005년 3월 - 2006년 12월     강원대학교  문화예술대 동양화과 출강
 2003년 3월 - 2004년 12월     대진대학교 예술대학 동양화과 출강
 2003년 3월 - 2004년  8월     경희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출강
 2003년 3월 - 2004년 12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출강
 1999년 3월 - 2001년  8월     강남대학교 미술디자인학부 출강
 1996년 3월 - 1996년 12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 출강
 1994년 3월 - 1995년 12월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출강
 1994년 3월 - 1995년 12월     전주 우석대학교 동양화과 출강
 1993년 9월 - 2000년 12월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동양화과 출강
 1993년 3월 - 1993년 12월     군산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출강


 


수   상
 2003년 2월      경기미술상(청년작가상)
 1993년 6월      제3회 MBC 미술대전 특선
 1992년 10월     제11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우수상
 1991년 10월     제10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
 1991년  6월     제1회 MBC 미술대전 특선


 


전시 경력


- 개인전  21회
  2014  아트리에갤러리 초대전
  2013  409갤러리 기획초대전
  2011  희야아트갤러리초대전
  2010  인사아트센터
        롯데 갤러리(안양)
  2007  아트스타100 (코엑스 인도양홀)
  2005  노화랑
        롯데갤러리 기획전(안양)
  2004  갤러리 빔 기획전
  2002  MANIF(예술의 전당)
         동안구 평촌전시관(경기도 안양)
         Arts Festival(예술의 전당)
  1999  Main Street Gallery (Adelaide, Australia)
  1998  공평아트센터
         서울중앙병원 갤러리 초대전
  1996  조형갤러리 초대전
         은 화랑 초대전
  1995  부산 한성화랑 초대전
  1993  백제화랑 초대전
         은 화랑 초대전
  1992  관훈미술관


- 2인전 및 중요 기획초대전
  2014 갤러리 세인 2인전
  2006  3인전-‘낯설지 않은 설레임’(라메르갤러리 기획)
  2005  ‘기전 미술 2005’(경기문화재단 기획)
  2004  꽃그림과 Flower전-김상철, 이기숙 2인전(홍의 갤러리)
  2002  한국적 감성의 시도-이기숙,금영보 2인전(안양 롯데갤러리)
  1999  5인의 감성에 대한 보고서(서울 아산병원 갤러리 기획)
  1998  2인전(Quay West Hotel, Auckland, Newzealand)


         2인전(Turtlelane Studio, Sydney,Australia)
  1997  ‘97 화랑미술제(예술의 전당)
        ‘97 MANIF 특별전
  1996  한국화 2인전-이기숙, 이소의(대구중앙갤러리 초대)
 1995  ‘95 화랑미술제(예술의전당)


 


- 단체전
 2013 안양미협전(안양아트센터 미담갤러리)
2012  안양미협전(안양아트센터 미담갤러리)
 2011  33인의 섬유공예전(토포하우스)
 안양미협전-제2회 한중국제미술교류전(안양아트센터 미담갤러리)
 2010  홍익여류한국화회전(인사아트센터)
  2009  한여름의 꿈 전(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홍익여류한국화회전(인사아트센터)
 2009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예술의 전당한가람 미술관)
 2008  ‘틈의 생산’(안양 롯데갤러리 초대)
  Opening Exhibition(Open art center)
 SK벤티움 아트리샤 개관 기념전(아트리샤 갤러리)
 '여섯번째 여름‘전(stone & water)
 ‘꽃’ 시대를 가로지르다.(안양 롯데갤러리 기획)
 홍익여류한국화회전(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아름다운 시작을 위하여(대림아트홀 개관기념전)
2007   ‘가을을 훔치다’(안양 롯데갤러리 초대)
   여백전(취옹미술관)
  경기미협 초대전(경기도 문화예술회관)
 2006   안양 미협전(안양 알바로시자홀)
경기미협전(경기도 문화예술회관)
2005   군계난명(공평아트 센터)
 Summer Blue(롯데 갤러리, 안양)
 서울 미술대전-회화(서울시립미술관)
 2004   아름다운 삶의 초대전(경기도 의사회관)
  한국화의 새 물결전(LMC 갤러리 기획)
  현대한국화 20인 전(삼성프라자 갤러리)
 2003   안양미협전(안양문예회관)
  한국의 미 그 아름다움전(조선일보 미술관, 인사 아트프라자)
여성작가 초대전(안양문예회관)
2002   안양미협전(안양문예회관)
  경기여성작품전(경기도 여성회관)
 경기미협초대전(경기도 문화예술회관)
       
 2001   여백전(관훈미술관)
 시공회전(공평아트센터)
    한국화 대기획- 변혁기의 한국화 투사와 조망전(공평아트센터 )
 안양미협전(안양문예회관)
송은미술대상전(공평아트센터)
 포도미술제(안양문예회관)
 2001 대한민국 청년작가 미술축전(서울시립미술관)
 관악현대미술대전(안양문예회관)
 경기미협초대전(경기도 문화예술회관)
 경기여성작품전(경기도 여성회관)
  목련동인전(안양문예회관 상설전시관)
  2000  희망의 소리전(신도리코 문화공간)
 현대백화점Art Fair (Info Art Korea 기획)
 단국대학교 교수 작품전(모로 갤러리)
 여백전(공평아트센터)
 편안한 그림전(부산 수가화랑)
 Salute to Summer(Galeriasia, Hongkong)
시공회전(시립미술관)
안양미협전(안양문예회관)
 관악현대미술대전(안양문예회관)
 동안구 평촌전시관 개관기념전(동안구 평촌전시관)
 제19회 목련동인전(동안구 평촌전시관)
1999  시공회전(미술회관)
여백전(한원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