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작품 더 보기
정영한_時代의 斷想-Image of myth_112.1X162.1cm_acrylic on canvas_2023
약력
정 영 한 鄭 暎 翰 CHUNG YOUNG-HAN (1971~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회화학과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미술학과 졸업
개인전 28회 : 아트뮤제 대치전시관, 갤러리 써포먼트, 금호미술관, 남송미술관, 노보시비르스크 시립미술관, 갤러리 Silver Shell, S+갤러리, 갤러리 H, 인사아트센터, 송은갤러리, 갤러리 우덕, 성곡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예술의전당 미술관, 한전프라자갤러리, 도올아트타운 등
단체 및 기획전 600여회 :
미술로 보는 한국 근・현대 역사전, 여주시미술관 기획초대, 여주
현대미술의 시선, 양평군립미술관 기획초대, 양평
팝아트와 하이퍼리얼리즘, 양평군립미술관 기획초대, 양평
시뮬라크르 초월하기, 백학미술관 기획초대, 광주
새로운 형상-실재와 환영전, 석당미술관 기획초대, 부산
극사실 세계와 만나다, 오승우미술관 기획초대, 전남
Beyond the Limit-극사실주의展, 포스코갤러리 기획초대, 포항
想・像-사진과 회화가 만나다, 쉐마미술관 기획초대, 충북
극사실회화-눈을 속이다, 서울시립미술관 기획초대, 서울
극사실회화의 어제와 오늘, 한국미술평론가협회 기획, 성남아트센터, 경기
베이징아트페어-CIGE 2007, 중국국제무역센터, 베이징, 중국
포천아시아비엔날레-PCAB 2007, 경기도 포천시 초대, 포천반월아트홀, 포천
상하이아트페어 2006, ShanghaiMART, 상하이, 중국
화랑미술제 2006, 예술의 전당 미술관, 서울
갤러리현대 WINDOW 전, Gallery HYUNDAI 기획초대, 서울
제9회 아시아 방글라데시 비엔날레, 실파칼라 아카데미, 방글라데시 등
수상 :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선정 주목할 예술가상, 대한민국미술인상 청년작가상, 대한민국미술대전 우수상, MBC미술대전 우수상, 송은미술대상전 장려상 등
공공기관 작품소장 : (주)MBC문화방송, 외교통상부, (주)한국야쿠르트,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시립미술관, 여주시미술관, (재)송은문화재단, 주(재)성남문화재단 성남아트센터, OECD 대한민국 대표부, 주 스페인 대사관 라스팔마스 분관, 주 파키스탄 대사관저, 주 오사카 총영사관 2점, 주 예멘 대사관, 주 리비아 대사관, 주 포르투갈 대사관, 주 프랑크푸르트 총영사관, 정부 마산지방합동청사, 송도 쉐라톤 호텔, 두산위브 더제니스 울산 2점, 갤러리 S+, Fill 갤러리, 아트뮤제, (주)윤재 등
경력 : 대한민국미술대전, MBC금강미술대전, 단원미술제 심사위원, 소사벌미술대전, 행주미술대전, 좋은데이미술대전, 전국대학미술공모전 운영위원 역임
현재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교수, 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 MBC미술대전 초대작가, 동아미술제 동우회원, 한국기초조형학회 상임이사, 한국조형예술학회 회원, 예술과미디어학회 회원, 한국미학미술사학회 운영위원, 한국예술학회 연구정보이사
작가노트
정영한의 작업의 시작은 이미지를 채집하는 행위로부터 출발한다. 과거의 작가들이 현실속의 대상을 회화의 모티브로 사용하였다고 한다면, 본인의 경우 Lost 이미지, 즉 실체가 없는 이미지들을 수집한다. 인터넷에서 떠도는 이미지, 잡지나 신문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들을 무작위로 채집하고 저장해 두었다가 작품을 할 때 화면에 하나씩 하나씩 올리는 과정을 겪는다. 마치 컴퓨터의 디지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인 포토샵에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투명 창에 이미지를 한 장씩 한 장 씩 중첩하여 여러 장의 레이어를 통해 하나의 화면을 구성해 내는 것처럼, 우선 바다처럼 보이는 배경을 깔고 그 위에 석상이나 대형화된 꽃, 흩날리는 꽃잎, 과일, 신문, 문자 등의 사진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재배치하여 화면을 그려낸다. 얼핏 보면 조금은 사진처럼 보인다.
혹자들은 이런 본인의 작품을 보고 초현실주의적이라고도, 포토리얼리즘이라고도 평가한다. 부정하지는 않지만 한편으론 대중적인 이미지를 차용하고 복제하여 재생산한다는 의미에서 팝아트에도 근접해 있으며,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작품의 이면에는 직간접적으로 문학작품이나 메시지(텍스트)를 배경으로 두고 있기에 이미지 그 자체보다는 해독 내지는 해석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개념미술의 전략과 가깝다. 이는 오늘날의 ‘예술’을 이해하는 접근방식에 있어서 재료의 특수성에 따른 장르 구분이 유효한지 않은 시점에서, 시각화된 언어 또는 텍스트 자체가 이미지로 제시되는 방법론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인은 이런 특정한 장르를 통해 나의 작업이 분류되기보다는 동시대 회화,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장 전통적 매체를 다루면서 오늘날 시각문화와 호흡을 같이하는 동시대 회화로 평가 받고 싶다.
<이미지, 時代의 斷想> 시리즈의 작품을 살펴보면 사실적이고 재현적인 이미지와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몇몇 단어들이 같은 화면 안에 공존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의 대상을 중점적으로 보여주는 분명한 이미지 위에 굵고 명암이나 색상을 달리하면서 선명한 글씨체로 새겨진, 제목을 가장한 추상적 단어들은 그 뒤에 배경처럼 드러나는 바다, 인형, 인물과 같은 다양한 대상들이 지닌 사물의 속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들은 화면에서 오히려 대조(contrast)를 이룸으로써 역설적이게도 이미지는 그 단어에 함축된 의미와 정서를 강조해주고, 단어는 다시 이미지의 사실적 형태와 감각을 더욱 강조해주고 있다. 즉 일종의 상호 촉진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미지, 時代의 斷想>이라는 연작을 하면서 본인은 신화로써의 아이콘을 그려내듯 시대의 단상을 가장 잘 함축하는 그러나 우리시대가 쉽게 정의내리지 못하는 가치들을 ‘LOST(찾아주세요)’라고 간곡하게 호소한다. 작품에서 ‘LOST’는 “Love Our Special Time”을 은유적으로 나타내며 항상 우리가 지금 잃어버린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 그것이 무엇으로 표현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갈망한다. 그리고 이것은 결국 <이미지, 時代의 斷想>을 통해서 지금 우리의 삶의 방식에 관계된 다양한 동시대적 감수성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영한 (화가/중앙대 교수)
평론
초(超)-영웅 또는 아이콘의 아이콘, “예술가의 초상: 나의 영웅들에게 헌정하는 그림”
“The time is out of joint.” - William Shakespeare's Hamlet(Act I, scene 5)
Jacque Derrida’s Specters of Marx(Chapter 3)
‘이음새를 이탈해 버린 우리의 시간’에 관한 숙고는 윌리엄 세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햄릿(Hamlet)』(1599~1601)에서 자크 데리다(Jacque Derrida)의 『마르크스의 유령(Specters of Marx)』(1993)으로 그리고 동시대 미술가 정영한이 그의 근작 <이미지, 時代의 斷想-아이콘 (Image, fragment of the time–ICON)으로 수 세기를 거듭하며 이어지고 있다. 오늘을 사는 우리의 시간 즉 ‘컨템퍼러리(contemporary)’를 데리다의 방법대로 쪼개어 읽어보자면 일시적인 순간들(temporary)의 합(con)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데리다가 그의 저서 『마르크스의 유령』에서 종종 언급했던 햄릿의 시간, 역사적 흐름에서 절대적이고 영속적인 진리의 존재에 대한 물음은 컨템퍼러리 또는 동시대라는 단편적이고 변화무쌍한 시간 속에 얽히고설켜 있다.
중략
.
.
.
결국 《Portrait of Artist : “You Are My Hero!”》 전시는 우리의 시간에 함께 호흡하는 한 사람의 예술가가 급변하는 시간의 지층을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과정의 산물이자, 그 스스로에게만 집중되어 있던 예술적 에너지를 타자와 사회적인 것으로 확장하려는 노력이라는 지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작품 곳곳에서 묻어나는 미술가 정영한의 진정성 어린 모험정신과 구도자적(求道者的) 자세는 우리의 시간 속에서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유령들의 컨템퍼러리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나아가 이번 개인전을 통해 자신이 그려 보이는 <아이콘>이 오늘을 사는 사람들과 아주 유쾌한 만남을 가지기를 기대한다는 미술가 정영한의 바람처럼, 《Portrait of Artist : “You Are My Hero!”》 전시는 어느 미술가가 쪼개놓은 시간의 이음새 사이에 그 틈에 채워진 상상 그 이상의 의미를 발견해내는 것이 관전 포인트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글│ Noella. K. Chung(Art Critic & Independent Curator)
정영한 (화가/중앙대 교수)
미디어 채집과 복합콜라주의 다중 변주
안현정|미술평론가․예술철학박사
(중략)...
Myth와 Time으로 구성된 텍스트 연작들 속에서도 ‘해체-재생-복귀’의 변증법은 ‘흐른다(Flow)’는 순환의 개념 속에서 동시대 문화를 극명하게 꿰뚫는다. 동일해 보이지만 다른 뉘앙스 속에서 반복과 차이를 드러낸 작품들은 고정된 가치를 가로지른 맥락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미지와 해석 그 자체를 관조하고 있다. 이렇듯 ‘이미지와 시대의 간극’을 동시대 언어로 통찰하려는 태도는 경제적 풍요를 누리며 미디어 이미지들(텔레비전·영화·잡지·광고)의 홍수 가운데 성장한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이자 ‘새로운 차원의 재현(New dimension of representation)’을 탐구하려는 회화작가로서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를 선택하는 방식 역시 20세기 팝아트의 차용·복제·혼성모방을 전략적으로 뒤집으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대중성과 아방가르드 신화를 모두 수용하는 관망적 태도를 보여준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이 획득한 시간성(temporality), 이른바 “지속된 시간의 경과 속에서 이루어지는 관람객들의 참여와 경험”(Douglas Crimp, 1944-2019), 앞에 철저히 계획된 구성을 선보임으로써 자신의 구상미술을 팝과 개념미술, 포토리얼리즘과 미니멀리즘을 종합한 ‘복합콜라주의 다중변주’로 재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미술은 표현이 아니라 탐구이고, 우리시대의 아이콘(영웅)이나 신화를 발굴해냄으로써 이미지가 제작되는 총체적 모험”이라고 언급한다. 이질적인 이미지의 절충 속에서 작가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은 회화의 본질을 철저하게 지켜나가되, 이 시대가 탑재한 다양한 시각언어들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렇듯 “충분한 정보를 알려주되 보는 이로 하여금 자세히 바라보게 만들고, 현대의 무비판적 수용에 대해 스스로 성찰해보도록 만드는 세련된 화화언어”, “대상이나 사건, 심지어 영웅들까지도 소비 가능한 이미지들로 매혹시키는 동시대 회화의 새로운 아카데미즘” 이것이 정영한 작가가 추구해온 21세기의 회화미학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