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원
    발맞춰 걷다보면

  • Code 1683359719
    작품사이즈 32x32cm
    재료 Acrylic on canvas
  • 액자종류
    매트종류
  • 배송기간 5-10일
  • 작품가격 900,000원
    액자가격 0원
    매트가격 0원
    적립금 18,000원
    합계가격 900,000원

    무이자할부

  • 구매하기
    목록보기
    장바구니



 

발맞춰 걷다보면_32x32cm_Acrylic on canvas_2022 

 

 

김경원(Kim Kyung Won)

 

 

🖋작가노트

나는 대상(동물)을 무수히 반복시켜 다른 형상을 만드는 작업을 한다. 처음부터 똑같은 대상을 반복시킨 것은 아니었다. 시작은 하나의 대상을 잘 그리고자 하는 마음에서 비롯되었다. 많은 관찰을 통해 하나의 대상을 완성했고, 비로소 완성된 대상은 그제야 자신감이 붙었다. 그렇게 한 번 더 하나 더 반복된 것이다. 이는 나의 성격과도 연관이 되어있다. 틀리기 싫어하고, 실패를 두려워하는 성향과도 맞닿아 있다. 누구나 잘하는 것을 드러내고 싶어 하듯, 나 또한 실패하지 않기 위해 모든 일을 반복하며 부단히 애를 썼다. 이것은 기저에 깔려있는 나의 성향이다. 

 

가장 처음 반복한 것은 종이 인형 옷이다. 처음의 반복은 나열식 반복이었고, 젖소로 대상을 바꾸고 처음에는 젖소 한 마리에 집중하는 작업을 했었다. 소를 소파에 앉혀주거나 젖소가 대관람차를 타고 있는 모습 등을 그렸다. 어느 날 젖소를 꽤나 많이 겹쳐 파도 같은 형상 하나를 만들었는데, 이 형상이 매우 흥미로웠다. 반복적인 대상이 내게 편안함을 주는 동시에 겹쳤을 때 나오는 형상이 시각적으로 내게 즐거움을 주었다. 같은 모양을 겹치니 새로운 형상이 되는 사소한 작업에서 시작된 나의 작업은 예상치 않게 정말 혹독한 노동을 주었다. 이 반복된 대상과 대상을 그리는 나의 노동을 통해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도 많이 달라지게 되었다. 대상을 이미지 위주로 바라보다가 대상에 대한 관심도 진지하게 갖게 되고, 동화되기도 하였다. 

 

특히 젖소를 그리며 소가 소가 된다고 느껴본 적이 있다. 옛날 소를 경작에 사용하던 때 소가 쉬는 시간이 없이 일해 소처럼 일한다는 말이 있다. 부지런하고 노동적임을 응축한 말이다. 그것처럼 그림을 그리다보면 나도 모르게 그 동물처럼 동화되고 있다고 느낀다. 얼마 전에는 호랑이를 그리며 어흥 어흥 하며 그리고 있었다. 그림을 그리다보면 나도 모르게 그 동물처럼 되고 있다고 느낀다. 

 

그리는 형태는 정해 놓는다기보다는 동물을 반복하여 그리면서 변화한다. 동물을 그리는 노동을 통해서 일 것이다. 동물을 반복적으로 그리며 이 동물은 무엇이 되고싶을까?라는 물음도 던지고, 혹시 어디론가 가고 싶지 않을까? 라는 여러 가지 물음을 가지며 그림은 변화한다.

 

그림 안 같은 동물들 중 다른 모습을 가진 동물을 숨겨 놓았는데, 이것은 동물을 그리며 동화된 ‘나’이다. 형태는 별, 하트, 산, 등등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지는데 나와 대상이 행복했으면 하는 마음, 사랑하고 싶은 마음, 자연으로 떠나고 싶은 마음 등을 의미한다. 

 

대상을 선택할 때는 특징을 많이 가진 대상을 선택한다. 닭의 붉은 벼슬, 젖소의 검정 얼룩과 흰 털, 호랑이의 줄무늬 등등 특징을 가진 대상을 반복하여 점, 선으로 보이게 하여 형상을 만든다. 대상에 대한 연구는 노동의 시작됨과 함께 시작된다. 내가 이토록 힘들게 반복하는 대상의 정보를 찾아보고 연구한다. 사실 우리는 동물을 바라볼 때 닭, 젖소, 원숭이 등등이라고 부른다. 1번 닭과 2번 닭은 다름에도 이름은 하나이다. 이 이름들이 어느 날 너무 이상하게 다가왔다. 다름을 가진 동물인데 하나의 종류에 묶여 개성 없이 보이는 동물들에게 여러 가지 색도 입혀주고, 각자의 특징을 붓으로 표현해 주고 싶었다. 자연스럽게 입체 작업이 나오게 된 이유이다.

 

페인팅과 동화될 수 있되 개체의 중요성 또한 중요하다 말하고 싶었다. 얇은 철판으로 따진 입체 작업 위에 아크릴 페인팅을 하여 평면 작품과도 조화롭도록 하였다. 같은 모양으로 레이저 커팅 된 조각 위의 페인팅은 어느 것도 똑같은 모양이 될 수 없다. 하지만 이들은 보통의 닭으로 보일 것이며 조화도 잃지 않을 것이다. 

 

보통의 동물도 각자 저마다 특징이 있다. 그러나 우리 눈에는 보통 동물일 뿐이다. 평범함은 모이면 다른 특별한 것이 될 수 있다. 보통 사람인 내가 만들어내는 작은 세상 안에서 특별함을 느끼길 바란다.

 

 

학력

2019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2006 성신여자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2021 Familiar Repeat <익숙한 반복> 춘천문화 재단 예술소통 공간 곳, 춘천

2021 Same, Similar, Different <같은, 유사한, 차이가 나는> Fill Gallery, 서울

2019 ‘Difference of Repetitive‘ <반복의 차이> 아트스페이스 W, 서울

2018 ‘Variation of repetition’ <반복의 변주> 팔레드 서울, 서울

2018 ‘Redundancy and Repetition’ <중복과 반복> 김리아 갤러리, 서울

2018 ‘A Repetitive Landscape’ <반복적 풍경> 갤러리 이즈, 서울

 

 

주요기획 | 단체전

2023 Repetition and Coexistence <반복과 공존>김경원, 장세일 2인전, 필갤러리, 서울

2022 찬란한 불일치, 강원대학교 미술관, 강원

       ‘Placebo + Virus’전 김경원+장새일, 충무로 갤러리, 서울

       인천아시아아트쇼 2022, 송도컨벤시아, 인천 

       <유머라면>갤러리인사1010, 서울

       ‘지구전주곡’ 춘천문화예술회관, 강원

       Kiaf Plus, 세텍, 서울

       ‘세계와 나 그사이’ 춘천문화예술회관, 강원

       ‘Fly high’2022년 충무로 갤러리 작가 공모 당선전, 충무로 갤러리, 서울

       ‘왜 호랑이는 고양이가 되었나?’, 호리아트스페이스&아이프라운지, 서울

       ’Focus’전, 필갤러리, 서울

       신년예술축제 2022 NEW ARTIST FAIR전, 아르떼 마르코x동래 롯데백화점, 부산

       개나리아트페어 ‘Home sweet home, 개나리미술관x어제본달, 강원

       2022 조형아트서울, 코엑스, 서울

       ’헬로 아트 with 김경원‘ 바디프랜드, 남양주

       ’VIVID IMAGERY SCULPTURE’ MASS GALLERY, 서울

       울산아트페어 현대백화점 프리뷰, 현대백화점, 울산

       아시아호텔아트페어, 하얏트부산, 부산

       뱅크아트페어, 인터컨티넨탈 코엑스, 서울

       Uiaf 2022 울산국제 아트페어, 울산전시컨벤션센터, 울산

       ‘Art in the bay’ 더베이101, 부산

2021 곳, 시작 멘토멘티전, 춘천문화재단 예술소통공간 곳, 춘천

       그림보러 가지 않을래?, 춘천문화예술회관, 춘천

       자연과 인간을 잇는 생태 예술, 경기천년길 갤러리, 경기

2020 제6회 멘토멘티전, 한원미술관, 서울 

       팔레드 서울 신진작가 단체전, 팔레드 서울 , 서울

       아시아프 After,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아트인터뷰페어, 대백 프라자 갤러리, 수애뇨339, 대구, 서울

       아트프라이즈 강남(Artprize Gangnam), 한국암웨이 미래재단, 서울

       춘천 예술소통공간 곳 입주작가 전시, 춘천문화재단, 춘천

2019 유니온 아트페어 ‘all about love’, 서울

       갤러리 라이프 공모 선정 작가전 2인전, 갤러리 LIFE, 서울 

       아시아프&히든아티스트, DDP 서울

       제 6회 애경 작품 공모전 ‘Love Respect“, AK 갤러리, 수원

       ‘The new faces 2019’ 백해영 갤러리x옆집갤러리, 서울 

       ‘An’C H Art Fair’ 현대백화점 천호, 서울

       ‘Steel Painting’전  갤러리아백화점, 천안

2018 유니온 아트 페어, 서울

       ‘마주보기’전, 리디아 갤러리, 서울

  

 

수상 | 활동

2021 문화예술거점공간 제2차 입주 작가 공모선정, 춘천문화재단 예술소통공간 ‘곳’, 춘천

2020 문화예술거점공간 제1차 입주 작가 공모선정, 춘천문화재단 예술소통공간 ‘곳’, 춘천

2018 제4회 마중물 선정 작가 개인전, 김리아 갤러리 

2018 제7회 갤러리 이즈 신진작가 창작지원 프로그램 최우수 선정 작가